Windows CHKDSK 문제

Windows 2010. 6. 6. 02:37

1. 하드 디스크에 Dirty 비트가 설정된 경우
정상적으로 컴퓨터를 종료하지 않을 경우에 파일 시스템의 손상을 막기위해 Dirty 비트가 설정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해결하셔야 합니다.
시작 - 실행 - cmd를 입력하고.엔터,,, 도스프롬프트창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Fsutil dirty query C: C:는 해당 드라이버 명입니다. (Fsutil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을 표시하거나 구성하라'는 명령어입니다. )

이렇게 했을때,,,, <Not Dirty> 라는 메세지가 나와야지 정상인데..

<Dirty> 라는 결과가 나올 경우에는,,,,,생성된 Dirty bit를 복구하기 위해서

CHKDSK /F /R /F:

위의 명령을 실행하면 파일확인,색인확인,보안설명자확인,파일 데이터확인,사용가능한 공간 검사(빈공간 포함)을 거친 다음에..'볼륨 비트맵'에 있는 오류를 고친 다음에 파일시스템을 수정했다는 메세지를 출력하게 됩니다.

이런 과정을 거친 다음에 한번더 Fsutil dirty query C:를 실행하시면 '볼륨 C: <Not Diryt>' 라고 나와야 정상적으로 복구가 된 것입니다. 이런 과정을 D드라이버도 동일하게 하셔야 합니다.

다음 명령으로,,,드라이버 검사를 하지 않도록 설정해두어야 합니다.

chkntfs /X C:

위에서 보시는 것과 같이 /X 옵션을 추가하시면 적혀진 드라이브를 검사하지 말라는 것입니다.당연히 D드라이버도 하셔야 하겠죠.!
만약 여러 디스크에 대해 설정을 하고 싶다면 아래와같이 계속 써주면 됩니다.

chkntfs /X C: D: E:

2. 하드 디스크에 물리적인 손상이 있는 경우 (이 과정은 최후 수단으로 사용하세요)
1번의 과정을 거친 후에도 계속적으로 부팅시 CHKDSK가 무한 반복되는 경우에는 하드디스크의 물리적인 손상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윈도우 재설치없이 복구하는 방법으로는 복구콘솔이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윈도우 XP 설치CD를 이용해서 복구콘솔로 부팅후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chkdsk /r c:

위의 명령어를 실행하신 다음에 컴퓨터를 재부팅합니다.

위의 방법은 복구콘솔을 사용하지 않는(리소스 관계로..) PC방 환경에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만약 1번 과정을 거친 다음에 CHKDSK가 무한 반복되는 경우에는 하드디스크를 파티션 삭제후 MBR초기화후 하드카피작업을 하시는 것이 근본적인 문제 해결방법입니다.

3. 재부팅시 CHKDSK가 자동검사로 예약된 경우
레지스트리 항목안에서 자동검사로 예약이 되어 있어서 생기는 결과이니 당연히 레지스트리 항목을 기본값으로 복구하시면 됩니다.

시작 - 실행 - 'regedit'를 입력하고 확인,,,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Session Manager 오른쪽창에서
BootExecute 값을보면 autocheck autochk * / 이렇게 돼있으면 autocheck autochk * 이렇게 바꿔주시면 됩니다.(기타 첨부된 레지스트리도 병합)

추가정보: CHKDSK와 부팅시 자동 검사와의 관계
명령행 레지스트리
Chkdsk /F * Autocheck autochk /p *
Chkdsk /F C:mountpoint Autocheck autochk /p ??VOLUME{GUID}
Chkntfs /X D: E: Autocheck autochk /k:D /k:E *
Chkntfs /C G: Autocheck autochk /m ??G:



출처 : http://www.ppomppu.co.kr/zboard/view.php?id=computer&no=42198
Posted by 철냄비짱
,

요즘 질리지도 않고 자주 보는 벨기에? 에서 뮤지컬 배우 오디션? 어떤 이유로 인해 

이벤트 형식으로 한 플래시몹.

배우 출신? 인지 지망생이라 그런지

자연스럽고 사랑스러운 이벤트...
Posted by 철냄비짱
,

Intel Core 2 Duo
8GB 메모리
500GB 하드 드라이브1
SD card slot
10시간 배터리 내장2
NVIDIA GeForce 320M 그래픽 프로세서


아주아주 얇고 날카로운 선을 자랑하는 맥북프로

정말 심플한 사이즈의 박스와 함께 배달됨.

지금 3일 정도 사용해 봤고 더 적응을 해봐야 결론이 나겠지만,

나름 Mac OS X 를 사용하는 쏠쏠한 재미가 있음.

확실히 윈도우 시리즈 보다 End-User가 사용하기엔 더 편리한 메리트가 큼.

그러나!! 내가 사용하기엔 OS 를 튜닝해서 자신만의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겐

조금 답답한 면이 없지 않아 있음.

+

확실히 윈도우와 윈도우 유틸리티에 익숙해진 사용자에겐 단축키 및 사용환경이 굉장히 불편함.

컴퓨터를 하루종일 사용하는 나 같은 경우엔 어느정도 익숙해지면 괜찮아 지겠지만 ^^

불편한 것은 사실임!!


(확실히 화질은 너무 안좋음!!)

개인적으로 노트북의 지름신이 굉장히 강렬하게 강림하는 관계와 게이머와 영화를 즐기는 나에겐

대충 고를 수 없는 전자제품.

게임은 노트북의 그래픽카드로는 어느정도의 한계성이 있기에

기존의 사용하던 T400 Thinkpad 와 영상 비교.

색상의 강렬함을 표현하기 위해 3D Game Trailer Movie 파일을 플레이

10분의 플레임 타임에도 불구, 1기가 씩이나 잡수시는 영상 비교.
Posted by 철냄비짱
,

T400의 케이스가 점점 분리가 되고 있는 마당에

 고치고 메모리 8기가로 업그레이드 하고 싶었지만...

 일단 그냥 쓰자라는 생각에서 출발하다보니...

 + 안드로이드나 아이폰 개발 해보고싶다는 생각도 추가 되어...

 질러버렸네요 큭!!

 여자친구가 저를 잡아먹으려고 합니다... 당분간 카드와 통장 다 뺏기고

 일주일 용돈 4만원으로 완전고정... 술자리가 있어도 추가 안해준답니다...

 그래도 만족...^^;;

 

 

배송은 한달 정도 걸린다는 군요..ㅠㅜ

Posted by 철냄비짱
,
드라마 좋아하시나요? 애니메이션은요?

   좋아하는 여러 종류의 드라마를 보시다 보면 어디까지 봤는지 기억이 가물가물한 적이 한 두번이 아닐 것 입니다. 
드라마니아는 드라마 및 애니메이션을 좋아하시는 분들을 위해 1회부터 마지막회까지 본 것을 선택해두어 나중에 다시 볼 때 몇 회까지 봤는지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아이폰 앱 입니다.

다운로드 링크: http://itunes.apple.com/kr/app/id362487711?mt=8
가격: 0.99$
언어지원: 한국어, 영어, 일본어

생각보다 유용하게 사용중입니다.

제가 애니메이션나 드라마를 즐겨 보는 편은 아니지만 가끔 관심이 가는 드라마들은 한번에 몰아서 보거나 시간상 보류되는 부분들이 많은데, 아주 유용하네요.

사용 방법도 심플하고 봤다고 체크하는 부분에 있어서 터치 한번에 체크가 된다는 부분이 번거로움 없이,
표시되어 유용합니다.

뭣보다 $0.99 저렴저렴!!
Posted by 철냄비짱
,
늘 답답한 IE만 써오다 최근에 나온 구글 크롬 플러스(크로니움)을 쓰면서 새로운 세상(?)을 본 이후, 급! 인터넷 웹페이지 로딩 속도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서 내가 평상시 알아왔던 것이랑 기타 신빙성은 없지만 어느 정도 빠르게 할 수 있는 방법들을 모아봤고 공유하려 한다.

 

뭐 크롬 플러스가 딱 정말 빠르고 웹 호환성도 좋고(IE탭) 정말 사용하고 싶지만 문제는 내가 특정 웹사이트를 자주 들락날락 하는데 이놈의 자동로그인(알패스, 엄청 편함-_-…)이 발목을 잡아서 결국 IE를 버리지 못했다.

 

평상시 IE에 부가기능(툴바나 기타 IE의 노예? 같은 프로그램) 없이 써온 사람이라면 크롬 플러스로 넘어갈 것을 적극 권장하는 바이다.

 

상당히 빠르고 IE탭, 슈퍼드래그(IE 엑셀레이터와 비슷), 마우스 제스쳐 등등이 있어 아주 편리하다.

 

그리고 이 글의 유효기간은 국내 IE 점유율이 IE를 제외한 타 브라우저들 모두가 IE와 대등하게 상대할 수 있는(50:50) 그날까지 일 것이다.

(지금 한 90% 이상이던데 언제쯤-_-…)

 

                                                                                                                                        

1. IE8 라이브러리 추가

실행 – ‘CMD’입력 – regsvr32 actprxy.dll 입력

 

탭을 많이 활용하는 사람에게 어느 정도 효과가 있다고 함.

 

체감은 썩…

 

관련기사

-IE8 속도, 라이브러리만 추가해도 빨라져

                                                                                                                                        

2. 구글 크롬 프레임 설치

http://code.google.com/intl/ko-KR/chrome/chromeframe/

 

위 사이트에서 구글 크롬 프레임을 다운받고 설치하면 된다.

(램디스크 사용자는 설치가 안되나 윈도우 템프를 잠시 변경하면 해결할 수 있다.)

 

예전에 사용했을 때는 잘 체감도 못하고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했으나 지금 다시 사용하니 확실히 좋은 것 같다.

(오류 발생은 좀 빈번한데 IE창은 안 꺼진다.)

 

관련기사

-“구글 플러그인 설치한 IE8, 10배 빨라져”

-MS, “크롬 프레임 사용하면 보안 위험 2배↑”

-구글, “IE 성능 향상시키는 크롬 프레임, 보안문제 없다”

                                                                                                                                        

3. 몇몇 고급 유저들이 사용하는 레지스트리 입력(1월 28일 업데이트)

 

인터넷속도 아주 빠르게 하기 (Revolution)

                                                                                                                                        

4. 램디스크 사용

 

컴퓨터 메모리를 빠른 속도를 자랑하는 램디스크로 생성하여 인터넷 임시 폴더 또는 윈도우 임시 폴더를 램디스크로 이동 시켜줌으로써 빠른 인터넷 웹페이지 로딩 속도 및 시스템 속도 향상과 메인 하드의 하드단편화(조각) 및 하드 잡음을 줄일 수 있다.

 

더 이상 말이 필요 없는 물건(?)이다.

 

■일반 하드(250GB)

 

 

■램디스크(1GB)

 

                                                                                                                                        

5. IE 설정 및 최적화/기타 등등(정보를 더 알게 되면 차후 내용 추가 및 수정)

 

■페이지 열리는 시간이 오래 걸려요. – KT 쿡(Qook)

 

웹페이지 연결 속도가 느리신 경우 다음과 같이 인터넷 옵션 설정을 확인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내 컴퓨터 ->제어판 ->인터넷옵션(또는 익스플로러의 도구메뉴)

1) 일반 탭: 임시인터넷 파일부분에 '파일 삭제'실행(이때 오프라인 항목을 모두 삭제 체크), 열어본 페이지 목록에서 '목록 지우기'를 실행합니다.

2) 보안 탭: 이 영역에 적용할 보안 수준(L)에 보통(보통으로 설정이 안되어 있을 경우에는 기본수준 버튼을 클릭하시면 보통으로 설정되심)으로 설정 후 확인을 누릅니다.

3) 개인정보 탭: '고급' 메뉴에서 -> '자동 쿠키 처리 덮어쓰기'에 체크하신 후 제 1사 쿠키와 제3사 쿠키에 '적용'으로 설정 하시고 '항상 세션에 쿠키 허용' 에도 체크합니다.

4) 연결 탭: 하단에 LAN설정을 클릭 하신 후 구성요소에 체크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해제-> 확인을 누릅니다.

5) 고급 탭 -> 기본값 복원 클릭 후 적용 -> 확인을 누릅니다.

 

■프록시 설정 검색중…이라며 페이지가 늦게 열리거나 안열려요. – KT 쿡(Qook)

 

프록시 설정은 인터넷 옵션에서 랜설정 부분에서 설정/해제가 가능한 기능입니다.

우선 익스플로러 => 인터넷 옵션 => 도구 => 연결 => LAN 설정 => 자동으로 설정 검색, 자동 구성 스크립트 사용, 프록시 설정에 체크가 되어있는 항목을 모두 해제하여 사용해주시기 바랍니다.

만일 설정 후에도 마찬가지로 프록시 설정 검색이라는 메세지가 뜰 경우에는 V3로 인하여 생기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니 V3의 환경설정 탭에 보면 인터넷 감시라는 부분에 체크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체크 해제 후 이용을 부탁드립니다. 

 

■[네트워크 폴더 및 프린터 자동 검색] 체크 해제 - 기타

 



 

XP일 경우 위와 같이 폴더 옵션에 가서 [네트워크 폴더 및 프린터 자동 검색]을 체크 해제 하면 어느 정도 빨라진다고들 한다.

                                                                                                                                         

 

6. 나의 의견

 

인터넷 옵션에서 [추가 기능 관리]에 들어가서 각종 사용 하지 않는 엑티브X를 삭제하는 것도 어느 정도 웹페이지 로딩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기타 설정(인터넷 옵션)과 관련된 것들은 사용자들 마다 설정이 다 다르기에 어떻게 권하지는 않겠다만 자기가 생각하기에 불필요한 기능이라면 꺼버리는 게 웹페이지 로딩속도에 어느 정도 도움은 되지 않을까 생각은 해 본다. (보안과 관련된 것들은 되도록 건드리지 말 것!)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잘못 알고 있는, 아니면 내가 잘못 아는 건지 몰라도 인터넷 임시 파일을 너무 자주 삭제하는 것에 대해서는 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 기능은 나중에 웹페이지를 빠르게 띄우기 위해 그 파일들을 자신의 컴퓨터에 잠시 저장하는 것인데 이걸 계속 삭제하면 들락날락 할 때마다 임시 파일을 계속 받아야 하기 때문에 자꾸 삭제하는 건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

 

분명 컴퓨터에게는 이롭겠지만 웹브라우저를 사용하는데 있어서는 좋은 선택이 아니라 본다.

 

최근에 하나 알게 된 사실이 있는데 CPU(AMD, 듀얼) 오버클럭을 하고 IE를 실행하니 눈에 띄는 향상이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

 

오버를 하면 뭐 당연 빨라지겠지만 한 15% 정도 오버를 했는데 눈에 띌 정도이니 뭐 좀 나로써는 놀랍기도 했다.

 

이상 냉무-_-…


[출처] 인터넷 웹페이지 로딩 속도 빠르게 하는 방법 모음집![IE8기준]|작성자 착한놈
인터넷, 크롬프레임, 램디스크
 
Posted by 철냄비짱
,


 

개발툴

실장님의 재빠른 소식통으로 인해 오늘 설치하고 실행해본 결과

이뿌다~~~~~!!! 잘났따~~~!! 멋지다!!!!!!!!!

일단 땜빵 형식으로 CSharp으로 이것저것 시도해 봐야겠다.

역시나 난 Hello, World 가 싫다.

대강 로그인 화면 형식으로 Alert 띄워봤다.




설치시 .Net Framework4 와 silverlight4 도 설치가 된다.

윈도우폰 개발시 필수 일지는 모르겠지만, 이런 형태로 원치않는 프로그램 설치는 상당히 안좋아 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선 불만이 좀 있다.

Posted by 철냄비짱
,



regedit -> HKEY_CURRENT_USER ->Control Panel -> Mouse

항목에서 MouseHoverTime 수정

기본값 400 / 0또는 100으로 수정해서 재붓.



출처 : http://cafe.naver.com/window7/85702

Posted by 철냄비짱
,

대다수의 윈도우 7 PC가 메모리를 한계치까지 사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병목 현상으로 인한 성능 저하가 나타나고 있다는 내용의 보고서가 발표됐다.

 

데빌 마운틴 소프트웨어의 커뮤니티 기반 XPnet(Exo.performance.network)의 CTO 크레이크 바쓰는 직접 조사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이 도출됐다고 밝혔다.

 

그에 따르면 XPnet에서 조사된 윈도우 7 PC의 86%가 일반적으로 활용 가능한 메모리의 90~95%를 소비하고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하드디스크 기반의 가상 메모리 활용으로 인한 성능 저하 현상이 나타났다는 것.

 

바쓰는 윈도우 XP PC에서 나타난 수치보다 두 배나 높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XPnet에 등록된 2만 3,000대 이상의 PC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XP 시스템의 경우 40%만이 메모리 고갈 현상을 보였다.

 

바쓰는 "지난 수개월 동안 윈도우 7 머신의 대다수가 메모리 포화되어 있었다. 성능 측면에서 즉각적인 부작용을 미치는 요소"라고 말했다.

 

특히 평균적으로 탑재된 메모리 용량까지 감안하면 격차는 더욱 벌어진다는 설명이다.

 

XPnet의 조사에 따르면 윈도우 7 PC들은 평균적으로 3.3GB의 메모리를 탑재하고 있다. 윈도우 XP의 경우 1.7GB였으며 윈도우 비스타 PC들은 2.7GB의 메모리를 탑재하고 있었다.

 

바쓰는 "윈도우 7 머신들은 거의 두 배에 달하는 메모리를 탑재하고 있었다. 이를 감안하면 윈도우 7이 XP보다 얼마나 비대하고 복잡한지 알 수 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XPnet의 데이터가 운영체제 그 자체로 인한 것인지, 아니면 여타 애플리케이션으로 인한 것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는 없다고 인정했다. 그러나 메모리 사용량 증가의 주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조사하고 있다고 전했다.

 

데빌 마운틴이 '윈도우 콤포짓 퍼포먼스 인덱스'(WCPI)라고 명명한 새로운 측정 수단의 일환으로 확인한 데이터로는 프로세서 부하량과 I/O 성능의 최대치를 정량화한 것이 있다. 이 수치에서도 윈도우 7 시스템은 XP PC들보다 높았다.

 

윈도우 7의 경우 85%가 최대 I/O 로드로 구동했던 반면 XP에서는 이 수치가 36%로 낮아졌다. CPU 부하량도 윈도우 7에서는 44%, 윈도우 XP에서는 36%였다.

 

바쓰는 윈도우 7의 리소스 소비에 대해 "주의가 요구된다. 윈도우 7은 흔히 생각하는 것처럼 윈도우 비스타의 간소화 버전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현 세대의 빠른 하드웨어 성능을 윈도우 7이 모두 소진하고 있다. 인텔이 주고 마이크로소프트가 뺏어가는 형국"이라고 말했다. editor@idg.co.kr



출처 : http://www.idg.co.kr/newscenter/common/newCommonView.do?newsId=60989


ps: 직업상 나도 먼저 느껴서 이거 업데이트 언제되려나 하고 있었는데...XP SP1 이후로 역시 MS는 SP2까지는 나와줘야 아~~~ 이제 좀 쓸만해 지겠구나~~ 할끄야!!!

Posted by 철냄비짱
,
Posted by 철냄비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