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자바스크립트로는 팝업. (window.open) 메소드를 이용한 팝업으로 이루어진다.

우편번호, 공지, 광고 등등

사용중 팝업을 이용하여 필수 정보를 입력시 브라우저의 포커스로 인해 팝업창이 뒤로 숨고 부모창이

보여지는 경우가 허다함.

그래서 사용되는 것이 javascript의 showModalDialog(); 유용한 함수 소개


사용방법:

새 창을 열고 (팝업), 거기에 HTML을 표시하는 방법.
모달 (modal)이란 모덜리스 의 반대로 해당 윈도우가 열려있는 동안 다른 창을 조작할 수 없다.

(모달 대화 상자를 연 창만이 조작할 수없는 경우 윙도우모달 다른 창을 모두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시스템모달 라고 부르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는데, JavaScript에서 윙도우모달 택일)



showModalDialog ()의 제 3 인수
매개 변수 이름 가능한 값 설명
dialogWidth 숫자. 단위 필수 대화의 너비
dialogHeight 숫자. 단위 필수 대화 상자의 높이
dialogLeft 숫자. 단위 필수 대화의 X 좌표
dialogTop 숫자. 단위 필수 대화의 Y 좌표
center 真偽値 불리언 대화 상자를 화면 중앙에 있는지 여부. dialogLeft,dialogTopdialogLeft, dialogTop가 지정되어 있으면 해제
status 真偽値 불리언 대화 상태 표시줄을 낼지 여부
scroll 真偽値 불리언 (내용이 대화 상자의 크기보다 큰 경우) 스크롤바를 발행 여부
resizable 真偽値 불리언 대화 상자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지 여부
help 真偽値 불리언 대화 상단 표시줄 오른쪽의 도움말 단추 "?"를 발행 여부
minimize 真偽値 불리언 대화 상자 위쪽 막대의 오른쪽 끝에있는 최소화 버튼 "_"를 발행 여부
maximize 真偽値 불리언 대화 상자 위쪽 막대 오른쪽의 최대화 버튼 "□"를 발행 여부
border thin thin ?
unadorned 真偽値 불리언 ?
edge raised,sunken ?
dialogHide 真偽値 불리언 ?
font 数値 숫자 ?
※ 사실 값은 0,1, yes, no, on, off 중 하나







// 부모창

1 <SCRIPT>
2     var args = new Array();
3     args[“id”] = “id”;
4     args[“name”] = “name”;
5     var msgDialog = window.showModalDialog(url, args, ‘dialogWidth:320px; dialogHeight:200px; center:yes; help:no;     status:no; scroll:no; resizable:no’);
6     return msgDialog;
7 </SCRIPT>



//
자식창

IE 7과 관련해서 window.showModalDialog 로 불려질 때 , <base target=”_self” />입력해야

window.close() 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IE 6 또한 일부 업데이트에 대해서 같은 반응을

보일때가 있다.

01 <HEAD>  
02 <BASE target=”_self”>
03 <SCRIPT>
04    // 부모창의 값을 꺼냄
05    var msg = window.dialogArguments[“id”];
06    var msg = window.dialogArguments[“name”]; 
07    var val = “값을 받아라”;
08    // 부모창으로 값을 넘김
09    window.returnValue = val;
10    window.close();
11 </SCRIPT>
Posted by 철냄비짱
,

test

Visual Studio/ASP.NET 2010. 12. 5. 01:55
Posted by 철냄비짱
,
protected void ASPxFileUploadComplete(object sender, DevExpress.Web.ASPxUploadControl.FileUploadCompleteEventArgs e)
 {
  string strFilePath = "/";
  string strFileInfo = strFilePath + strFilename;
  
  if (e.UploadedFile.IsValid)
  {
   try
   {
    e.UploadedFile.SaveAs(strFileInfo);
   }
   catch (Exception ex)
   {
    string strErr = ex.Message.ToString();
    throw;
   }
  }
}
Description 이 알기 쉽게 설명되어 있음.
Posted by 철냄비짱
,

string StrConn = ConfigurationManager.ConnectionStrings["ApplicationServices"].ConnectionString;

ConfigurationManager 이 내장 객체로 접근 가능. 저장된 connection string 불러오기 가능.

Posted by 철냄비짱
,

Posted by 철냄비짱
,

ASP.NET에서 Page객체 내에 있는 IsPostBack과 IsCallBack의 차이를 명확히 몰랐다. 어떨때 Postback을 써야 할지, 어느 때 Callback을 써야 할지...

이제는 조금은 명확해져서 조심스럽게 포스트하도록 하겠다.

먼저 이 차이를 알려면, HTML을 이용한 서버 데이터 전송에 대해서 살펴보아야 할 것 같다.

예전 HTML로 작성된 데이터들은  정적 페이지라고 했다. 그 이유인 즉, 그 HTML 페이지에는 오로지 HTML 태그와 텍스트들로 나열되서 글과 그림 그리고 링크로 구성된 오로지 정보 전달만을 위한 페이지를 제공해 왔다. 그래서 당시 대부분의 홈페이지들은 텍스트와 이미지와 링크 만 있었고, 그나마 동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움직이는 GIF나, 자바스크립트를 겨우 이용하는 정도 였다.  즐비했고, 사용자들은 서버에서 제공되는 값들을 이용만했지 절대 서버에 데이터를 주거나 하지 못했다.

그러다가, 이 HTML에 Form 이라는 것이 생겼다. 이 Form 내에 input 이라는 형태로 데이터들을 넣으면 form 내에 있는 각종 데이터들을 서버에 전달 할 수 있게 되었다. 아마 이 개념이 정립되면서 가입 양식 같은 형태로 만들 수 있었고, 이 가입양식 내에 데이터를 채우면 서버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었다. 이 때 Form 안에 보면 action 이라는 속성 값으로 Html URL을 넘기게 되어있는데, 이 URL에 해당하는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이 때 부터 생긴 개념이 ghost 페이지라는 것이 생겼다. 이 ghost 페이지는 오로지 client에서 데이터를 받아 처리하는 로직만 담기고 실제로 사용자에게는 보여지지 않는 페이지였다.

이 개념을 ASP.NET에서 Postback이라는 것으로 만들었다. 즉 예전에는 총 3단계의 과정 [입력폼 페이지] -> [Ghost 페이지] -> [결과 페이지] 로 가졌던 것을 [입력폼 페이지] 하나만으로 그 Form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것이다.

ASP.NET에서 제공하는 System.Web.UI.WebControls 라는 네임 스페이스 안에 다양한 컨트롤들 Button, TextBox... 마치 Windows 클라이언트의 WinForm과 같은 컨트롤들을 생성해서 그 동작을 살펴보면 바로 저 Postback 개념으로 동작하는 것이다. 즉 예전 Form의 Post 방식으로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는데, 단지 특정 Ghost 페이지가 아닌 자기 자신으로 다시 부르는 것이고, 이에 관련된 처리를 ASP.NET에서 자동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그래서 실제 프로그래밍 할 때는 Form 의 action이나, input 과 같은 태그 없이도 자동으로 클릭, 텍스트 변경 등의 이벤트에 대응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큰 문제가 있으니, 바로 화면 Refresh이다. 이건 원래 Form의 Post 방식을 사용한 것이다 보니 Post가 발동 되는 순간 Form에 정의된 action의 페이지를 부르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 페이지가 다른 페이지던, 자기 자신이든 결국 그 페이지를 다시 부르는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화면이 깜박이게 되는 것이다.

이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callback이라는 것을 제공한다.
AJAX가 세상의 또하나의 트랜드가 되었을 때, 이번엔 HTTPRequest 라는 객체를 이용해 javascript로 데이터를 직접 읽어오는 로직을 ASP.NET으로 구현한 것이 바로 callback이라는 개념이다. 이 동작은 Form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고 javascript가 독자적으로 httprequest 라는 모듈을 이용해 직접 페이지를 부르는 방법이기 때문에, 화면이 깜빡대지 않는다.


정리를 하자면, Postback은 옛날 개념, Callback은 근좌 유행한 AJAX 기반의 개념이라는 것. 그래서 일반적인 웹 컨트롤은 바로 Postback으로 체크하시면 되고, Callback은 ICallbackEvent 라는 인터페이스를 상속 받은 Page 객체 혹은 컨트롤에서 체크하면 된다.


출처 : http://hind.pe.kr

Posted by 철냄비짱
,

시작 > 실행 > services.msc 실행 시키면 서비스 목록이 나옵니다.

여기서 빨갛게 표시된 NAT Service 란 목록을 사용안함 말고

수동. 중지 시키세요.

어디서 들은 글로는 파일다운로드 프로그램이

사용자가 다운받은 파일을 스스로 공유시켜 업로드를 한다고 합니다.

마치 토렌트 처럼 말입니다.

비싼 돈주고 사용하는데 그런 불이익을 사용자 몰래 심어놓다니 화가 나지만,

자잘한 유틸리티를 구하기는 존파일이 제일 좋아서 포기를 못하겠네요.

존파일을 이용하시는 분들에게 좋은 정보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Posted by 철냄비짱
,

제작사 홈페이지 : http://www.titanium.free.fr/index_us.html

 
찌꺼기 파일을 한번에 날려주는 프로그램
이미지는 자동으로 삭제하기 탭
한가지 안좋은 점은 한영변환 편리 유틸의 설정파일도 날라간다.
 
다른 유틸의 설정파일은 그대로 인데 말이지.
 
그래도 한번 싹 비우고 나면 컴퓨터가 가벼워졌다는 느낌을 받는다.
 
제작사 홈페이지 첨부. 무료 유틸리티.
Posted by 철냄비짱
,
firefox를 빠르게 해주는 팁입니다.

서핑 중에 찿은 팁이 상당히 위력이 있어 소개합니다.

1.Type “about:config” into the address bar and hit return. Scroll down and look for the following entries:
(주소표시줄에 "about:config"를 입력하고 아래 항목들을 찿으시오)


network.http.pipelining 

network.http.proxy.pipelining 

network.http.pipelining.maxrequests
Normally the browser will make one request to a web page at a time. 

(기본적으로 한번에 한페이지를 로딩하게 되어 있다)

When you enable pipelining it will make several at once, which really speeds up page loading.
(pipelinging을 사용하게 되면 한번에 여러 페이지를 로딩하게되어 실제 페이지 로딩 속도를 느낄 수 있다)


2. Alter the entries as follows: 

(아래 항목을 찿은 후에)

Set “network.http.pipelining” to “true”
Set “network.http.proxy.pipelining” to “true”
Set “network.http.pipelining.maxrequests” to some number like 30. This means it will make 30 requests at once. (저는 90으로 했읍니다.)


3. Lastly right-click anywhere and select New-> Integer. Name it “nglayout.initialpaint.delay” and set its value to “0″. This value is the amount of time the browser waits before it acts on information it receives.
(마지막으로 아무데나 마우스 우클릭하여 “nglayout.initialpaint.delay”라는 정수(i)의 항목을 만들고 값을 "0"으로 입력하시오. 이것은 브라우저가 정보를 받기 전에 기다려야 하는 시간의 양을 말하는 겁니다. - 저는 페이지의 로딩정보를 받기 전에는 안 움직인다고 이해했습니다. 실제로 이항목을 적용 후에는 다른 페이지들이 로딩 중에는 꼼작도 안하던 파폭이 다른 페이지가 열렸습니다.)


출처 : http://irc.bittalk.org/thread70371.html
Posted by 철냄비짱
,

뉴 맥북프로!!

전원 버튼도 상당히 깔끔하고 스뎅분위기가 난다.

너무 많이 사용하게 되는 command키 키스킨을 씌워도 기름때가...


대략 1개월여 정도 사용한 느낌.


장점

생각했던 것 보다 상당히 편리하다.

윈도우 시리즈 처럼 메모리 최적화 방법 기타 잡다한 지식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액정 색감이 띄어나다. 전에 쓰던 씽크패드 T400보다 훨씬 발광이 뛰어난다. 허나 그만큼 빛 반사율이 높다.

윈도우7도 잘 지원해줘서 게임, 금융권 부분에 딱히 불편한 점은 없다.

페러럴즈가 vmware를 통해 윈도우를 상시적으로 사용가능.


단점 꽤나 있다.

키보드에 기름때가 너무 빨리 낀다.

발열이 꽤나 고통스럽다. 3D 게임 돌리는 순간부터 발열 상당하다.

윈도우에 익숙해진 나만 느끼는 거지만 단축키가 상당히 거슬린다.

시디롬 빼는 하드웨어 버튼이 없다. 자주 쓰는 부분은 아니지만 가끔 필요할때 없으니 짜증난다.

부트캠프를 이용하지 않고선 윈도우7 제대로 설치가 안된다. (중간에 계속 프리징현상 난다.)

생긴거에 비해 무겁다...
Posted by 철냄비짱
,